고용보험 가입자 증가에도...건설업 13개월째 감소

[스포츠한국 홍여정 기자] 건설경기 악화가 이어지며 고용보험에 가입한 건설업 근로자 수가 13개월째 감소세를 보인 것으로 조사됐다.9일 고용노동부가 발표한 '2024년 8월 고용행정 통계로 본 노동시장 동향'에 따르면 지난달 말 기준 고용보험 상시가입자는 1544만5000명으로 전년 동월 대비 22만명(1.4%) 증가했다.가입자 수는 증가세가 이어지고 있지만 증가 폭은 줄어들었다. 지난 1월 34만1000명에서 8월 22만명으로 떨어졌다. 2021년 2월(19만2000명) 이후 43개월 만에 가장 낮은 수치다.업종별로 보면 서비스업

featured-image

[스포츠한국 홍여정 기자] 건설경기 악화가 이어지며 고용보험에 가입한 건설업 근로자 수가 13개월째 감소세를 보인 것으로 조사됐다. 9일 고용노동부가 발표한 '2024년 8월 고용행정 통계로 본 노동시장 동향'에 따르면 지난달 말 기준 고용보험 상시가입자는 1544만5000명으로 전년 동월 대비 22만명(1.4%) 증가했다.

가입자 수는 증가세가 이어지고 있지만 증가 폭은 줄어들었다. 지난 1월 34만1000명에서 8월 22만명으로 떨어졌다. 2021년 2월(19만2000명) 이후 43개월 만에 가장 낮은 수치다.



업종별로 보면 서비스업과 제조업에서 각각 19만2000명, 3만8000명 증가했다. 서비스업은 보건복지, 사업서비스, 전문과학, 숙박음식, 운수창고 업종에서, 제조업은 기타운송장비, 식료품, 자동차, 화학제품 등을 중심으로 증가했다. 반면 건설업은 1만3000명 줄어든 76만7000명을 기록하며 13개월 연속 감소세를 보였다.

지난 6월부터 감소 폭이 만명대를 넘어선 이후 3개월 연속 최대 감소폭을 갱신하고 있다. 구직급여 통계에서도 건설업 불황이 드러난다. 구직급여 신규 신청자 수는 8만6000명으로 전년 동월 대비 500명(-0.

6%) 줄었지만 건설업에서만 2만8000명이 증가했다. 구직급여 지급자 수는 62만5000명으로 전년 대비 2000명(0.4%) 감소한 반면 건설업에서는 11만명이 증가했다.

건설업 고용지표 악화는 건설 경기 불황 여파다. 누적된 고금리와 공사비 상승 등의 여파로 공기가 지연되고, 수주가 줄어들며 고용에 부정적인 영향을 미치고 있다. 통계청 ‘2023 건설업 조사’ 결과에 따르면 건설계약액은 298조원으로 전년보다 12.

1% 감소했다. 건설계약액이 전년 대비 감소한 것은 2018년(-4.5%) 이후 5년 만이다.

이 중 국내 계약액은 258조원으로 14.4% 줄었다. 수주가 줄며 일자리 수도 같은 흐름을 보이고 있다.

통계청 ‘7월 고용동향’에 따르면 건설업 취업자는 201만4000명으로 전년 동월 대비 8만1000명 줄었다. 이는 지난 2013년 이후 가장 큰 폭의 감소세다. 15세 이상 취업자(2885만7000명)가 전년 대비 17만2000명 늘어난 것과 대비된다.

업계에서는 건설 고용보험 가입자와 취업자 수가 동시 감소하는 상황에 대해 산업적으로 침체가 본격화되는 신호라고 분석한다. 한국건설산업연구원이 지난 7월 발표한 건설동향브리핑에 따르면 지난 2009년 5~6월과 2013년 건설업 취업자 수와 고용보험 가입자 수가 전년 동월 대비 동시에 감소했다. 박철한 한국건설산업연구원 연구위원은 “2009년도는 글로벌 금융위기 영향으로 향후 공사 물량 위축에 대한 우려감이 컸고, 2013년은 오랜 기간 침체로 인한 산업 내 구조조정 영향이 컸던 시기다”라며 “고용보험 가입자 수 감소는 상시근로자 감소의 영향이 크고, 취업자 수 감소는 마감 공사에 투입된 일용직 근로자 투입이 감소한 영향이 큰 것으로 보인다”라고 설명했다.

건설업 취업 시장에 대한 하반기 전망도 어둡다. 한국고용정보원의 ‘2024년 하반기 주요 업종 일자리 전망 발표’에 따르면 건설업 하반기 고용 규모는 전년 동기 대비 5만8000명(2.7%) 줄어들 것으로 예측한다.

하반기에도 고금리 유지, 부동산 PF 부실 우려, 민간 분양시장 위축 등의 영향으로 건설 투자가 감소하며 고용 규모가 줄어들 것이라는 분석이다. 이에 정부가 발표한 ‘건설업 일자리 지원방안’에 관심이 쏠린다. 앞서 지난달 14일 고용노동부와 기획재정부는 관계부처 합동 일자리전담반(TF) 회의를 열고 건설업 전직·생계지원을 강화하겠다고 밝힌 바 있다.

우선 수도권을 중심으로 주택공급을 확대하고 공사비 안정화 대책을 마련해 준공지연 요인을 해소한다. 또한 부동산PF 제도 개선을 통해 사업장별 맞춤형 관리 및 지원도 강화한다. 건설 일용근로자 지원도 방안에 담겼다.

고용서비스와 전직 지원 등을 강화하고 맞춤형 훈련과정 공급을 확대한다. 고용 감소가 심화될 경우 추후 특별고용지원업종 지정도 검토한다는 방침이다. 특별고용지원업종 지정 시 고용유지지원금이나 직업훈련비 등 지급 규모가 일반 업종 대비 커진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