문체부 장관, 광장시장 '바가지’ 논란에 자정 촉구

Bindaetteok (mungbean fritters) at Gwangjang Market in Jongno District, central Seoul. [YONHAP] 서울시 종로구 광장시장의 빈대떡. [연합뉴스] Culture minister urges Gwangjang Market clean up its act after ‘rip-off’ claims surface 문체부 장관, 광장시장 '바가지’ 논란에 자정 촉구 Korea JoongAng Daily 10면 기사 Monday, June 17, 2024 Korea’s representative tourist hotspot Gwangjang Market has its reputation on the line these days. tourist hotspot: 관광 명소 reputation: 명성, 평판 on the line: 위태로운, 위기에 처한 한국의 대표 관광 명소인 광장시장의 명성이 최근 위기에 처했다. For months now, its outdoor food stalls have been receiving flak for allegedly ripping off foreigners and locals alike. food stall: 노점 flak: 맹공격, 비난 allegedly: 추정되는, ~으로 알려진 rip off: ~에게 바가지를 씌우다 지난 몇 달 동안 이곳 음식 노점이 외국인, 내국인 할 것 없이 바가지를 씌운다고 알려져 비난을 받고 있다. Minister of Culture, Sports and Tourism Yu In-chon visited the market on June 14 where he adamantly told the press that Gwangjang Market isn’t simply a place of business but “something much bigger.” adamantly: 단호하게 유인촌 문화체육관광부 장관은 14일 광장시장을 방문해 이곳은 단순히 장사하는 곳이 아니라 “그 이상으로 중요한 곳”이라고 언론에 단호하게 말했다. “Vendors here should know that they aren’t just selling bindaetteok [mungbean fritters] or tteokbokki [spicy rice cakes]; they are purveyors of Korean food culture.” vendor: 상인, 판매자 purveyor: 전달자 유 장관은 “이곳 상인들은 자신이 빈대떡이나 떡볶이만 파는 게 아니라 한국 음식 문화의 전달자라는 것을 알아야 한다”고 덧붙였다. Gwangjang Market in Jongno District, central Seoul, is a tourist staple. Viral photos of Hollywood actors and global pop stars being affectionately hand-fed pieces of jeon (Korean fritters) by the market’s workers, as well as features on Netflix food docuseries like “Street Food” (2019), have given the market an incredible global reach and a reputation as a quintessential Korean food center. staple: 필수요소 viral: 화제가 되는, 입소문이 난 affectionate: 애정 어린, 정감 있는 quintessence: 정수 서울 종로구 광장시장은 필수 관광지다. 시장 노동자가 정감 넘치게 손으로 할리우드 배우나 세계적 팝스타의 입에 전 조각을 넣어주는 모습이 찍힌 화제의 사진이나 넷플릭스 음식 다큐멘터리 ‘스트리트 푸드’ (2019) 속 묘사는 광장시장에 놀라운 국제적 인지도와 한국 음식의 정수가 모인 음식 중심지라는 명성을 안겨주었다. But as the market settled as a tourism hub, it was losing local shoppers and diners — until Covid-19 hit. hub: 중심지 diner: 식사하는 손님 하지만 광장시장이 관광 중심지로 자리잡을수록, 국내 손님과 식당 손님은 점점 줄었다. 그러다가 코로나 19가 터졌다. In this market came in Onion, a stylish cafeslash-bakery chain, opened in the place of a 60-yearold bullion store inside Gwangjang Market that had gone out of business. Other modern brands began to enter the market and its nearby vintage streets, like Appledang, an apple pie shop; Pleats Mama, an up-and-coming sustainable fashion brand; and Abebe Jeju, a cream donut shop. bullion store: 금은방 go out of business: 폐업하다 up-and-coming: 떠오르는 sustainable: 지속가능한 이 시장에 감각적인 카페 겸 베이커리 어니언이 60년 역사의 금은방이 폐업한 자리에 들어왔다. 애플파이를 파는 애플당, 지속가능한 패션을 표방하며 떠오르고 있는 플리츠마마, 크림 도넛을 파는 아베베 제주 등 다른 유행브랜드 매장도 이 시장의 오래된 골목으로 들어오기 시작했다. But with the extra foot traffic, Gwangjang Market also garnered embittered shoppers who claimed that some of the street food carts inside the market are cheating customers. foot traffic: 유동인구 garner: 얻다, 모으다 embittered: 적의를 품은 cheat: 속이다 하지만 유동인구가 늘어난 광장시장엔 일부 음식 노점이 손님을 속인다고 주장하는 적의를 품은 사람도 모이기 시작했다. The issue surfaced earlier this year after a handful of local YouTubers uploaded footage of Gwangjang Market’s street food vendors upselling their menu items without properly informing the customers. surface: 수면으로 드러나다, 표출되다 upsell: 더 비싼 것을 팔다 올해 초 몇몇 국내 유튜버들이 광장시장 상인들이 손님에게 제대로 설명도 하지 않고 더 비싼 메뉴를 주는 영상을 올리며 이 문제가 수면으로 올라왔다. For instance, food influencer Koreanfoodman uploaded a video to YouTube Shorts in March where he explains how he and his foreigner friend ordered a 5,000 won ($4) plate of gogi mandu (meat dumplings) in English but were snubbed and served a mix of gogi mandu and kimchi mandu (kimchi dumplings) that costs double the price. snub: 무시하다 예를 들어, 음식 인플루언서 코리안푸드맨은 지난 3월 유튜브 쇼츠에 외국인 친구와 함께 5000원짜리 고기 만두한 접시를 영어로 주문했지만 무시당하고 두배 비싼 고기만두와 김치 만두의 ‘믹스’가 나온 일화를 설명하는 동영상을 올렸다. Upon placing their order, the woman owner is recorded responding with, “Mix, mix!” and filmed handing over the more expensive mixed plate. place an order: 주문하다 hand over: 넘겨주다, 건네다 이들이 주문하자 여성 사장이 “믹스, 믹스” 라고 하며 더 비싼 ‘믹스’ 만두 접시를 건네는 장면이 촬영됐다. WRITTEN BY LEE JIAN AND TRANSLATED BY YIM SEUNG-HYE [[email protected], [email protected]]

featured-image

문체부 장관, 광장시장 '바가지’ 논란에 자정 촉구 Bindaetteok (mungbean fritters) at Gwangjang Market in Jongno District, central Seoul. [YONHAP] 서울시 종로구 광장시장의 빈대떡. [연합뉴스] Culture minister urges Gwangjang Market clean up its act after ‘rip-off’ claims surface 문체부 장관, 광장시장 '바가지’ 논란에 자정 촉구 Korea JoongAng Daily 10면 기사 Monday, June 17, 2024 Korea’s representative tourist hotspot Gwangjang Market has its reputation on the line these days.

tourist hotspot: 관광 명소 reputation: 명성, 평판 on the line: 위태로운, 위기에 처한 한국의 대표 관광 명소인 광장시장의 명성이 최근 위기에 처했다. For months now, its outdoor food stalls have been receiving flak for allegedly ripping off foreigners and locals alike. food stall: 노점 flak: 맹공격, 비난 allegedly: 추정되는, ~으로 알려진 rip off: ~에게.